자메이카 커피의 주요 특징 맛 소개 70kg짜리 나무 오크통에서만 유통되는 세계 최고급 명품커피로 커피계의 "로마네꽁티"를 재배하는 커피 생산국으로 자메이카는 동서길이 235km, 남북길이 60~80km의 아담하고 아름다운 섬나라로 동남부에는 블루마운틴을 최고봉으로 한 산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산맥의 남쪽사면에서 생산되는 커피는 질이 좋아 이나라 최고봉의 이름을 따서 "블루마운틴"으로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다. 자메이카의 커피는 18세기말 Martinique에서 건너왔고 사탕수수가 주요 생산품인 자메이카 경제 발전을 위하여 커피가 장려되었다. 자메이카 커피의 특징은 Blue Mountain이냐 아니냐로 구분된다. 섬의 동서 산맥의 경사면에서 주로 커피를 재배한다. 이 산맥 동쪽의 최고 높은 산이 블루마운..
인도 커피의 주요 특징 및 맛 소개 주로 로부스타종이 재배되고 있으며 몬순기후의 영향으로 숙성커피와 몬순커피가 유명한 인도커피, 인도커피는 1585년 이슬람의 메카(Mecca)에서 전래되어 1840년 이후부터 본격적인 커피 생산이 시작되었습니다. 열대성 기후인 인도는 커피재배에 적합한 강수량과 배수가 잘되는 비옥한 고원지대를 갖추고 있습니다. 아라비카(Arabica)와 로부스타(Robusta)가 1 : 6 정도의 비율로 재배됩니다. 2008년 국제커피협회 ICO(Internationnal Coffee Organization)의 통계에 의하면 총생산량은 276,000톤으로 세계 7위입니다. 인도는 과거 유럽으로 커피를 수출할 당시 6개월간의 향해 기간 동안 원두는 높은 습도에 노출되었고 그 맛과 색에 영향..
파푸아 뉴기니 커피의 주요 특징 맛 소개 유기농 커피로 유명하며. 1930년경 영국인에 의해 블루마운틴종이 이식되면서 보다 양질의 커피를 재배하고 있는 커피 생산국입니다. 남태평양의 섬나라인 파푸아뉴기니는 1937년 자메이카 블루마운틴의 커피를 들여와 재배를 시작하였습니다. 고지대의 온난습윤한 기후에 기온차가 적어 커피재배에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어 매우 훌륭한 커피맛을 자랑합니다. 특히 단맛이 좋고 살짝 감도는 신맛과 감칠맛이 잘 어우러져 처음 커피를 접하는 사람들이 마시기에 상당히 매력적인 커피입니다. 가장 큰 섬인 뉴기니(New Guinea)에는 해발 4,694m의 빌헬름 산(Mt Wilfelm)이 있는데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원지대를 하이랜드(Highland)라고 부릅니다. 파푸아뉴기니 커피의..
커피재배환경 따라 달라지는 명칭 생산지와 로스터, 딜러상호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웠던 과거에는 로스터와 딜러들이 수동적인 입장을 가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 이유는 생산지의 결과에 따라 움직여야 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요즘 교통, 통신의 발달로 이 모든 과정을 공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커피산업이 지구 환경에 미치는 해악을 전 세계에 알릴 수 있게 된 계기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환경운동가들의 인터넷 활동을 통해서였으며 사람들은 그 폐해를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경작 방식이 환경친화적으로 바뀌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기본보다 좀 더 비싼 값에 커피를 사는 것이 자연적으로 이의를 제기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오가닉 커피(Organic Coffee) 유통, 저장, 커피재배, 로스팅 등 전 단..
생두의 가공 방식 그린빈의 과육은 수분과 당분으로 이루어져 병충해에 대한 염려가 크고 과육 변질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커피체리를 수확한 즉시 생산 공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공정은 겹겹이 빈을 싸고 있는 껍질들을 벗겨내는 것으로, 이 일은 생두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아주 중요한 작업입니다. 커피체리의 구조는 외피, 속껍질(실버스킨), 내피(파치먼트 스킨), 펄프(과육), 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빈을 분리해 내는 방식은 세척법, 자연건조, 이 두 가지 방법 대표적입니다. 자연건조방식(Dry-Processing) 과거에는 나무판에 수확한 체리를 깔고서 햇볕에 말렸는데 이 방법은 세척방식에 비해 비용이 덜 드는 방식이며, 요즘에 와서는 보통 콘크리트 바닥에 깔아 말리는 작업 형태로 진행합니다. ..
콜롬비아 커피의 주요 특징 맛 소개 콜롬비아 커피는 마일드 커피(Maild Coffee)의 대명사로 불리는 콜롬비아 수프리모에 생산지이며. 품질적으로 전 세계 1위 커피를 생산지입니다. 유럽 선교사들을 통해 1800년대 초부터 커피 경작이 시작되었고, 1900년을 기점으로 세계 최대 커피 생산국가로 발전하였습니다. 커피를 생산하는 안데스 산맥 지역은 1,400m 이상으로 토양으로는 양질의 화산토가 대부분이며 온화한 기후, 적절한 강수량으로, 커피의 생육에 아주 훌륭한 황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콜롬비아 커피의 품종은 아리바카를 생산하며, 콜롬비아커피생산자협회의 철저한 감독하에 로스부타(Robusta)의 재배를 금지하고 있으며 또한 Screen size 13 이하의 생두는 수출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콜롬비아..
브라질 커피의 주요 특징 맛 소개 브라질은 세계 제일의 커피 생산국이자 수출국으로 2017년 ICO(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통계를 통해 약 309만 톤을 생산하여 세계 1위의 커피 생산국가로 명성을 떨치고 있습니다. 다른 나라 커피에 대비 낮은 고도에서 생산하며. 적당한 습도, 비옥한 토지, 값싸고 풍부한 노동역으로 전 세계 커피의 40~50%를 점유합니다. 브라질 커피는 향미는 묵직한 바디감과 고소한 맛 단맛이 특징이며. 에스프레소 베이스 블랜딩(Espresso Base Blending)에 많이 사용됩니다. 브라질 커피는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는데. 주로 재배 품종으로는 아라키카, 로부스타, 품종이 대표적이며 또 한 버본(Bourbon), 티피카(Typica), 문..
코스타리카 커피의 주요 특징 및 맛 소개 코스타리카는 국토 대부분이 무기질이 풍부한 화산 토양과 온화한 기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아라비카(Arabica) 품종만을 재배할 수 있도록 법적으로 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코스타리카에서는 로부스타종을 재배할 수 없습니다. 커피의 품질을 높은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습식 가공법(Wet Method)만을 고집하며. 세계적으로 '완벽한 커피"라는 타이틀도 있습니다. 코스타리카 커피는 깨끗하고 밝은 산미의 맛을 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표적인 지역으로는 타라주(Tarrzu) 지역의 코스타리카 커피는 많은 사람들에게 좋은 평가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코스타리카 커피의 등급분류 코스타리카 커피의 최고등급은 1200m에서 재배한 SHB(Strictly..
에티오피아 소개 원시적인 모습이 고스란히 존재하는 곳, 커피 발견의 원산지이며 아프리카 최대의 커피 생산국으로 점점 더 계량화되고 체계화되어 가고 있는 커피 생산국으로, 에티오피아는 아라비카 커피의 원산지로 '커피의 고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프리카 최대의 커피 생산국이며, 열악한 자본과 시설로 전통적인 유기농법과 건식법(Dry Method), 그늘식 경작법(Shading)으로 커피를 재배하고 있다.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유명한 커피로는 이르가체페(Yirgacheffe)는 꽃내음과 같은 향미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스페셜티커피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주요 커피산지로는 에티오피아의 축복으로 알려진 하라(Harrar), 서부지역의 짐마(Djimmah), 남부지역의 시다모(Sidamo), 리무(Limmu) 등..
과테말라 소개 스타벅스 커피의 주요 단골 생산지로 스모키 한 커피를 재배하는 중남미의 대표적인 커피 생산국입니다. 스모키 한 커피의 대명사이며 마야문명의 중심지로 오랜 시간 스페인의 지배를 받다가 독립한 과테말라는 정치적으로는 불안 하지만 세계에서 가장 품질이 좋은 커피를 생산하는 지역 중 하나로 여덟 번째 생산국가입니다. 과테말라는 멕시코와 접경지역에서 시작하여 남쪽 접경지역인 온두라스 국경까지 이어져 있습니다. 과테말라 북쪽은 해발고도가 3,500m가 되며 남쪽으로 갈수록 낮아져 2,000m에 이르며 활화산이 많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영원한 봄의 나라'라고 불릴 정도로 일 년 평균 15~20 ºC를 정도의 기온에 알맞은 강우량, 그리고 많은 야채와 많은 곡물이 수확되어 이런 별명을 가지고 있습니다...